Linux

[git] 정말 간단하고 내가 쓰고있는 Git 사용방법

반나무 2020. 12. 21. 14:44

리눅스에서 깃 사용하는 방법을 정리했다.

 

 

우선 깃에는 영역이 4개가 있다

working directory - Staging - local repository ----- remote repository 

1. 깃 레파짓토리 생성(초기화)

git init

2. 깃 클론 받아오기

git clone <git URL>         # 원격 레파짓토리명으로 새로운 폴더를 생성함
git clone <git URL> <폴더명> # 원하는 디렉토리에 clone을 받아옴

ex) git clone <git URL> .    # 현재 디렉토리에 clone을 받아옴

3. Staging영역에 파일 등록

add . 을 하면 수정된 파일 전체가 등록된다.

git add .

4. Status확인 ( 깃 상태 확인 )

깃 상태가 어떤지. 어떤 파일이 Staging영역에 올라갔고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알수있다.

git status

5. Staging영역에 Commit 

Staging영역에 있는파일을 local repository로 확정 

git commit -m "등록할 메시지"

6. remote repository에 등록

git push <원격저장소명> <브랜치명>
git push origin master

 

이 순서대로 하면 로컬에서 서버로 git을 올릴 수 있다.


7. 원격 레파지토리 -> 로컬 레파지토리 받아오기

git pull               # 디폴트 pull
git pull origin master # master 브랜치 pull 
git pull <브랜치명>     # 원하는 브랜치 pull

ex) git pull origin <브랜치명>

Branch관련 

1. git Branch확인

어떤 브랜치가 있는지 확인합니다.

git branch    # 로컬 브랜치 확인
git branch -r # 원격 브랜치 확인
git branch -a # 로컬/원격 브랜치 확인

2. 서버에서 원격 git Branch 가져오기

git checkout -t <브랜치명>

3. git Branch 변경

git branch로 확인하고 원하는 브랜치로 변경한다.

git checkout <브랜치명>

이후 그 브랜치를 pull 받아서 작업하고 올리고 알아서 지지고 볶으면 끝


4. git Branch 삭제

git branch -d <브랜치명>

 

반응형